- 디지털에 관한 새로운 개념의 어르신 전용 디지털 특화 공간
- 영등포구·은평구서 시작…2025년까지 6곳 이상 조성

서울시는 노년 중심의 디지털 전용 교육·여가 공간인 '디지털동행플라자'를 영등포구(서남권)와 은평구(서북권)에서 오는 11월부터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방문해서 디지털기기 문제해결, 교육, 체험,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디지털 교육 거점 공간이다.
그간 어르신들은 디지털 교육, 체험, 상담을 받기 위해 여러 기관을 찾아다녀야 했으나 디지털동행플라자 방문을 통해 디지털이 주는 이로움을 어르신들도 편하게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일상생활에 관한 새로운 개념의 어르신 전용 디지털 특화 공간인 셈이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교육·체험 지원을 위해 ▴상담존 ▴교육존 ▴여가 체험존으로 조성된다.
상담존을 방문한 장・노년층은 전문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디지털기기 사용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교육존에서는 키오스크, 스마트폰 활용부터 디지털아트, 시니어 웹툰 등 엑티브 시니어 취미까지 다양한 맞춤형 디지털 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여가 체험존에서는 디지털 퍼팅, 로봇 바둑, 경험형 콘텐츠 등 다채로운 디지털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시는 장노년층에게 친화적인 질 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 운영업체((주)상상우리)를 선정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발굴 중에 있다. 또한, 디지털 교육, 체험 등의 정규 프로그램 외에도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오디오북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된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장·노년층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방문해서 쉽고 편리하게 디지털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연중무휴(평일 09~21시, 주말 09~18시)로 운영된다.
시는 장・노년층의 디지털교육·체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11월부터 거점형 2개 공간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서비스 현장 수요 및 성과 분석 등을 거쳐 오는 2025년까지 권역별 1개소 이상씩 총 6개소 이상의 거점형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 사업 대상지는 서울시가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조성지 유치공모 신청을 받아 심사했으며 영등포구, 은평구가 최종 선정됐다.
영등포구는 대림중앙시장공영주차장 3층에 ▴디지털 스포츠존 ▴키오스크존 ▴디지털카페 ▴디지털도서관 ▴교육실 등이 조성된다.
은평구는 대중교통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지하철 구산역 인근 ‘구산역 청년주택’ 2층에 디지털 퍼팅존, 디지털 갤러리, 교육실, 휴식마루 등이 조성된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디지털동행플라자는 노인세대의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창의적 장노년을 위한 포용적 공간이 될 것이다”라며, “단순 일회성 디지털기기 체험이 아닌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 ‘디지털 일상생활’의 다양한 활동이 공존하는 구조로 기존 어르신 시설과는 차별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