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8-13(화)
 
  • 일하는 고령자 82% “자녀와 함께 살고 싶지 않아”
  • 65세 이상 이혼은 감소하였으나 재혼은 증가 추세
보호센터1.JPG
65세 이상 고령인구 1천만시대의 한국. (사진/Naver Blog)

 

지난 9월말 통계청에서는 고령인구, 경제활동 상태, 소득분배 및 의식변화 등 고령자 관련 통계를 수집·정리하여  ‘2023년 고령자 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올해에는 특별기획으로 6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일하는 고령자의 생활과 의식’에 대한 분석을 추가하였다.

베이비붐세대(통상 1955~1963년생)의 본격적인 고령화 진입으로 건강한 몸으로 직접 일해 돈을 벌고 새 배우자를 만나는 등 인생 2막을 꿈꾸는 이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70대의 전후에 있는 베이비붐 세대, ‘시니어 세대, 욜드(YOLD·young old)’ 세대라고 부르는 이들은 과거 노인세대와는 완전히 다르다. 우선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학력이 높고, 정보기술(IT) 적응력이 빨라 생계비 벌이 외에도 사회활동을 계속하고 싶다는 능동적인 의지가 강하다.

이는 저출산으로 인한 급격한 인구 구조의 변화가 사회 셍태계의 변화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8.4%인 950만 명으로 '25년에는 20.6%로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된다. 올해 65~74세 10년차 인구는 551만4000명으로 75세 이상 인구보다 152만8000명 더 많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올해 기준 549만1000 가구로 전체 가구의 25.1%를 기록했다. 고령자 가구 비중이 25%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구 유형별로 보면 1인 가구가 36.3%로 가장 많고, 부부(35.3%), 부부와 미혼자녀(9.2%) 순이다. 


65세 이상 고령자 10만 명당 사망원인별 사망자수는 지난해 기준 악성신생물(암) 783.9명, 심장질환 337.9명, 코로나19 331.3명, 폐렴 286.8명으로 집계됐다. 

고령자의 사망원인별 사망률을 전체 인구 사망률과 비교하면 악성신생물(암) 4.8배, 심장질환 5.1배, 코로나19 5.4배, 폐렴 5.5배, 뇌혈관질환 5.1배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용률은 34.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고령층 가운데 취업자 비중은 36.2%로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65세 이상 비취업자 수는 전체 고령자의 63.8%에 달한다.

일하는 고령자가 비취업자보다 정신·육체적으로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가족과 배우자, 자녀와의 관계에서 모두 비취업 고령자보다 만족하는 편이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약 8명은 자녀와 함께 사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는 81.9%, 비취업자 72.9%로 모두 동거를 희망하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는 근로 의욕과 독립 성향이 높은 노년층의 현대적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실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72.8%였다.


반면 ‘황혼 재혼’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재혼 건수는 남성 3290건, 여성 2018건으로 총 5308건이다. 남녀 모두 전년 대비 이혼은 감소하였으나 재혼은 각각 4.3%, 8.5% 증가했다.

또한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에 올인했던 베이비붐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듯 부모 부양과 관련해서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54.7%가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다.


일자리.JPG
고령화시대에 당면과제로 등장한 노인문제. (사진/Naver Blog)

 

일하는 고령자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취미(36.1%), 여행·관광(25.4%), 소득 창출(21.3%), 비취업 고령자는 취미(45.1%), 여행·관광(26.3%), 종교 활동(10.1%) 순이었다.


2021년 기준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40%에 육박한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이하인 계층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노인 1천만 시대에 한국은 해마다 65세 이상 노인 3천5백여 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나라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두 배를 훨씬 넘는 숫자로 한국은 노인이 살기 힘든 사회가 되었다. 

 

노인 문제를 재정 투입으로만 해결할 수는 없다. 

급변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일할 의지가 있는 사람에게 능력과 성과에 걸맞은 일자리를 마련하는 동시에 맞춤형 사회 복지제도를 찾아야 한다. 

노인문제는 이제 우리사회의 당면과제로 등장했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924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액티브 시니어, 돈 벌고 재혼하고 자녀와도 따로 산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